- 중국 중세도성: 제2권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박한제 [저] l 초판 2019.08.05 l 발행 2019.08.05
- 회원리뷰 0건
-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책소개
분류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
ISBN | 9788952120496 |
초판발행일 | 2019.08.05 |
최근발행일 | 2019.08.05 |
면수/판형 | 736(쪽) / 신국판[153*225] |
이 책의 핵심 줄거리는 중국의 전통적인 도성 형식에서 유목민족이 중원에 진입하면서 준 영향은 어떤 것인가이다. 저자는 중국 역사상 출현한 도성 가운데 가장 완성적인 형태를 지녔던 수당 장안성이 호한체제적 성격을 지닌 도성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당 장안성의 특징은 첫째, 초대형 성곽도시였고, 둘째, 궁성이 성의 북쪽에 치우친 ‘편북’구조로 금원(禁苑)이 궁성과 연결되어 있어 도성의 일 구역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셋째, 도성 안이 가축의 우리처럼 담벽(墻)으로 구분·분리되어 주민이 가축처럼 일사불란하게 통제되는 방장제(坊墻制)가 실시된 것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진 도성이 출현하게 된 과정과 그 구조가 수행하는 역할을 11편의 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도성이 출현하게 된 배경에 유목민족(호족)의 중원진출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개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유목민족이 처한 입장과 독특한 사고가 중원의 전통이 혼합되어 ‘호한체제’적인 독특한 형식의 도성이 출현했다는 것이다. 초대형 도성의 건축은 수많은 사민의 수용을 위한 공간확보가 목적이었으며, 방장제는 적은 인력으로 다수의 (적대적인)주민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장치였고 궁성의 편북과 금원의 존재는 유목 출신 황제의 안위와 군사활동과 연관되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진인각(陳寅恪)의 도성론 보정(補正): ‘궁성편북론(宮城偏北論)’과 ‘북문관건론(北門關鍵論)’을 중심으로
서론
Ⅰ. 북위 낙양성과 수당 장안성에 대한 도성구조론
1. ‘궁북시남(宮北市南)’구조의 호족적(胡族的) ‘실행성론(實行性論)’에 대한 진인각의 비판
2. ‘궁북시남(宮北市南)’구조에 대한 진인각의 견해
Ⅱ. 궁성의 편북화(偏北化)와 금원의 기능
1. 북위 평성의 편북구조의 기원
2. 북위 평성에서의 ‘성(城)․원(苑)’체계 출현
3. 수당 장안성 현무문과 금원의 기능
4. 당 낙양성 현무문과 금원의 기능
결론
제2장 북위 낙양사회와 호한체제: 도성구획과 주민분포를 중심으로
서론
Ⅰ. 도성구획
1. 성곽구조와 호한체제
2. 방장제의 포치(布置)와 호한체제
Ⅱ. 주민분포
1. ‘사민이거(四民異居)’책의 배경
2. 주민분포의 실제
결론
제3장 당 장안성 삼원고(三苑考): 전한 상림원(上林苑)의 기능과 비교하여
서론
Ⅰ. 성(城)․원(苑) 분리에서 성(城)․원(苑) 통합체계로
1. 성(城)․원(苑) 분리시대의 원유(苑囿): 상림원형(上林苑型)
2. ‘성원(城苑)’체계의 계보: 삼원형(三苑型)
Ⅱ. 원(苑) 기능의 변화
1. 상림원형 원의 기능
2. ‘성원’체계하 원의 기능
결론 … 177
제4장 유목국가와 성곽: 방장제(坊墻制)의 출현과 그 배경
서론
Ⅰ. ‘무성곽(無城郭)’의 의미와 유목민족의 성(城)
Ⅱ. 남흉노(南匈奴)의 성
1. 남흉노 철불부(鐵弗部)의 대래성(代來城)
2. 혁련하(赫連夏)의 통만성(統萬城)
Ⅲ. 선비(鮮卑)의 성
1. 선비제부(鮮卑諸部)의 각축시대(角逐時代)와 성락성(盛樂城)
2.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의 주민배치와 방장제(坊墻制)
결론
제5장 ‘이’제(‘里’制)와 ‘방’제(‘坊’制): 그 구조와 기능의 이동(異同)에 대한 시탐
문제제기
Ⅰ. ‘방(坊)’의 출현과 그 용어적 의미
Ⅱ. 방(坊)의 형태: ‘방(坊)’제에서의 방장(坊墻)
Ⅲ. 방장제(坊墻制)의 출현․빈번한 축성(築成) 및 대성(大城)축조운동
Ⅳ. 이(里)와 방(坊)의 병립과 그 이동(異同)
Ⅴ. 방장(坊墻)의 장점: 인민관리의 경제성
결론
제6장 오호(五胡) 혁련하국(赫連夏國)의 도성 통만성(統萬城)의 선지(選址)와 그 구조: 일(一) 호족(胡族)국가의 도성경영방식
서론
Ⅰ. 혁련하국의 시말과 국제정세
Ⅱ. 통만성의 지리환경과 선지과정
Ⅲ. 통만성의 구조와 경영방식
결론
제7장 동위-북제시대 업도(鄴都)체제와 도성구조: 입지와 용도, 그 구조적 특징
문제제기
Ⅰ. 업(鄴)으로의 천도문제
Ⅱ. 양도체제하(兩都體制下)의 진양(晉陽)과 업도(鄴都)
1. 양도체제 성립의 배경
2. 양도체제하의 진양
Ⅲ. 신도(新都) 업도(鄴都)의 건설과정과 그 지향
Ⅳ. 업도(鄴都)의 외곽성과 방(坊)
Ⅴ. ‘용병처’로서의 업도 북성(北城)
결론
제8장 당대 육호주(六胡州) 주성(州城)의 건치(建置)와 그 운용: ‘항호(降戶)’안치(安置)와 역사(役使)의 일 유형
서론
Ⅰ. 돌궐항호(突厥降戶) 처리와 육호주의 연혁
1. 돌궐항호 안치과정에서의 육주(六州)와 육호주
2. 기미주(羈縻州)와 육호주
Ⅱ. 육호주 주성의 건치와 방제의 실시
Ⅲ. 양마(養馬)와 소그드인
Ⅳ. 기마병원(騎馬兵源)의 확보와 육호주
결론
제9장 수당 장안성의 시장풍경: 호한문화의 뎱류와 통합의 현장
서론
Ⅰ. 계획도시 장안성의 주민배치
Ⅱ. 장안성의 시장구조와 그 관리
Ⅲ. 시장의 봉쇄·개방 양존적 구조와 문화통합기능
Ⅳ. 상인문화로 본 호한문화(胡漢文化) 교류·통합의 현장
결론
제10장 대당제국 장안성의 도성구조와 그 계보: 계승(繼承)과 창신(創新)
문제제기
Ⅰ. 초대형 계획도성의 출현
Ⅱ. 수당 장안성의 방장제
1. 방장제 창신인가? 계승인가?
2. ‘창신’의 내용과 그 유래
3. 방장제의 실시와 야금제도의 운용
Ⅲ. 궁성의 편북과 성원체계(城苑體系)의 기능
결론
제11장 수당대 낙양의 도성구조와 그 성격: ‘중세적’ 도성구조의 종언
문제제기
Ⅰ. 배도(陪都) 낙양성의 영건과 그 배경
Ⅱ. 낙양성 영건과정에서의 사민(徙民)
1. 수 양제의 ‘천하부상대고수만가(天下富商大賈數萬家)’ 사민
2. 무측천의 ‘관내칠주호수만가(關內七州戶數萬家)’ 사민
Ⅲ. 낙양성의 건설과 그 구조적 특징
1. 낙양성의 건설과정과 그 규격
2. 낙양성의 구조적 특징과 좌우대칭의 문제
Ⅳ. 경제수도로의 지향
1. 궁·황성과 금원의 편서와 조운
2. 운하와 수거 그리고 시장
3. 궁성과 저량(儲糧)·조운창(漕運倉)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찾아보기
제1장 진인각(陳寅恪)의 도성론 보정(補正): ‘궁성편북론(宮城偏北論)’과 ‘북문관건론(北門關鍵論)’을 중심으로
서론
Ⅰ. 북위 낙양성과 수당 장안성에 대한 도성구조론
1. ‘궁북시남(宮北市南)’구조의 호족적(胡族的) ‘실행성론(實行性論)’에 대한 진인각의 비판
2. ‘궁북시남(宮北市南)’구조에 대한 진인각의 견해
Ⅱ. 궁성의 편북화(偏北化)와 금원의 기능
1. 북위 평성의 편북구조의 기원
2. 북위 평성에서의 ‘성(城)․원(苑)’체계 출현
3. 수당 장안성 현무문과 금원의 기능
4. 당 낙양성 현무문과 금원의 기능
결론
제2장 북위 낙양사회와 호한체제: 도성구획과 주민분포를 중심으로
서론
Ⅰ. 도성구획
1. 성곽구조와 호한체제
2. 방장제의 포치(布置)와 호한체제
Ⅱ. 주민분포
1. ‘사민이거(四民異居)’책의 배경
2. 주민분포의 실제
결론
제3장 당 장안성 삼원고(三苑考): 전한 상림원(上林苑)의 기능과 비교하여
서론
Ⅰ. 성(城)․원(苑) 분리에서 성(城)․원(苑) 통합체계로
1. 성(城)․원(苑) 분리시대의 원유(苑囿): 상림원형(上林苑型)
2. ‘성원(城苑)’체계의 계보: 삼원형(三苑型)
Ⅱ. 원(苑) 기능의 변화
1. 상림원형 원의 기능
2. ‘성원’체계하 원의 기능
결론 … 177
제4장 유목국가와 성곽: 방장제(坊墻制)의 출현과 그 배경
서론
Ⅰ. ‘무성곽(無城郭)’의 의미와 유목민족의 성(城)
Ⅱ. 남흉노(南匈奴)의 성
1. 남흉노 철불부(鐵弗部)의 대래성(代來城)
2. 혁련하(赫連夏)의 통만성(統萬城)
Ⅲ. 선비(鮮卑)의 성
1. 선비제부(鮮卑諸部)의 각축시대(角逐時代)와 성락성(盛樂城)
2.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의 주민배치와 방장제(坊墻制)
결론
제5장 ‘이’제(‘里’制)와 ‘방’제(‘坊’制): 그 구조와 기능의 이동(異同)에 대한 시탐
문제제기
Ⅰ. ‘방(坊)’의 출현과 그 용어적 의미
Ⅱ. 방(坊)의 형태: ‘방(坊)’제에서의 방장(坊墻)
Ⅲ. 방장제(坊墻制)의 출현․빈번한 축성(築成) 및 대성(大城)축조운동
Ⅳ. 이(里)와 방(坊)의 병립과 그 이동(異同)
Ⅴ. 방장(坊墻)의 장점: 인민관리의 경제성
결론
제6장 오호(五胡) 혁련하국(赫連夏國)의 도성 통만성(統萬城)의 선지(選址)와 그 구조: 일(一) 호족(胡族)국가의 도성경영방식
서론
Ⅰ. 혁련하국의 시말과 국제정세
Ⅱ. 통만성의 지리환경과 선지과정
Ⅲ. 통만성의 구조와 경영방식
결론
제7장 동위-북제시대 업도(鄴都)체제와 도성구조: 입지와 용도, 그 구조적 특징
문제제기
Ⅰ. 업(鄴)으로의 천도문제
Ⅱ. 양도체제하(兩都體制下)의 진양(晉陽)과 업도(鄴都)
1. 양도체제 성립의 배경
2. 양도체제하의 진양
Ⅲ. 신도(新都) 업도(鄴都)의 건설과정과 그 지향
Ⅳ. 업도(鄴都)의 외곽성과 방(坊)
Ⅴ. ‘용병처’로서의 업도 북성(北城)
결론
제8장 당대 육호주(六胡州) 주성(州城)의 건치(建置)와 그 운용: ‘항호(降戶)’안치(安置)와 역사(役使)의 일 유형
서론
Ⅰ. 돌궐항호(突厥降戶) 처리와 육호주의 연혁
1. 돌궐항호 안치과정에서의 육주(六州)와 육호주
2. 기미주(羈縻州)와 육호주
Ⅱ. 육호주 주성의 건치와 방제의 실시
Ⅲ. 양마(養馬)와 소그드인
Ⅳ. 기마병원(騎馬兵源)의 확보와 육호주
결론
제9장 수당 장안성의 시장풍경: 호한문화의 뎱류와 통합의 현장
서론
Ⅰ. 계획도시 장안성의 주민배치
Ⅱ. 장안성의 시장구조와 그 관리
Ⅲ. 시장의 봉쇄·개방 양존적 구조와 문화통합기능
Ⅳ. 상인문화로 본 호한문화(胡漢文化) 교류·통합의 현장
결론
제10장 대당제국 장안성의 도성구조와 그 계보: 계승(繼承)과 창신(創新)
문제제기
Ⅰ. 초대형 계획도성의 출현
Ⅱ. 수당 장안성의 방장제
1. 방장제 창신인가? 계승인가?
2. ‘창신’의 내용과 그 유래
3. 방장제의 실시와 야금제도의 운용
Ⅲ. 궁성의 편북과 성원체계(城苑體系)의 기능
결론
제11장 수당대 낙양의 도성구조와 그 성격: ‘중세적’ 도성구조의 종언
문제제기
Ⅰ. 배도(陪都) 낙양성의 영건과 그 배경
Ⅱ. 낙양성 영건과정에서의 사민(徙民)
1. 수 양제의 ‘천하부상대고수만가(天下富商大賈數萬家)’ 사민
2. 무측천의 ‘관내칠주호수만가(關內七州戶數萬家)’ 사민
Ⅲ. 낙양성의 건설과 그 구조적 특징
1. 낙양성의 건설과정과 그 규격
2. 낙양성의 구조적 특징과 좌우대칭의 문제
Ⅳ. 경제수도로의 지향
1. 궁·황성과 금원의 편서와 조운
2. 운하와 수거 그리고 시장
3. 궁성과 저량(儲糧)·조운창(漕運倉)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찾아보기
기타안내
배송안내 |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
반품/교환 |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상품 품절 |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