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분류별 도서
- 철학,심리학,윤리학
- 아시아(동양)철학,사상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1-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 철학,심리학,윤리학 > 아시아(동양)철학,사상
- 허남진, 박재현, 박해당, 방인, 변희욱, 심재룡, 정영근, 최유진 [저] l 초판 2010.03.10 l 발행 2018.10.10
- 회원리뷰 0건
책소개
분류 | 철학,심리학,윤리학 > 아시아(동양)철학,사상 |
---|---|
ISBN | 9788952110824 |
초판발행일 | 2010.03.10 |
최근발행일 | 2018.10.10 |
면수/판형 | 364(쪽) / 46배판[188*257] |
중국철학과 인도철학 분야의 연구 활성화가 바로 해당 자료집의 발간에서부터 기인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지금까지 한국철학사상과 관련된 자료집은 매우 미비했다. 한국철학사상과 관련된 자료집의 발간은 한국철학을 정리해 본다는 점에서, 또 한국철학을 다른 나라에 제대로 소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으로 절실하고 시급한 과제다. 이 자료집은 철학사상적으로 중요한 인물을 선정하고 그들의 문헌 가운데서 중요 내용을 뽑아 해설을 덧붙였다. 한국사상에 관심은 있으나 접근하기 어려웠던 다른 분야의 학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작업이다. 이 자료집을 바탕으로 서양철학자나 사회과학자가 한국철학의 원전을 체계적으로 쉽게 접근하고, 이를 통해 서양사상과 한국전통사상 간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목차
일러두기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1. 개요
2. 불교의 대중화와 교학발전의 토대
3. 교학의 발전과 심화
4. 선문(禪門)의 형성
제Ⅰ부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제1장 삼국의 불교 전래와 수용과정
1. 고구려의 불교
【자료1】 불교의 민간전래
【자료2】 불교의 왕실전래와 공인
【자료3】 불교의 적극적 홍포
2. 백제의 불교
【자료1】 불교의 왕실전래와 대중화
3. 신라의 불교
【자료1】 법흥왕이 불교를 일으키고 염촉이 순교함
【자료2】 황룡사 9층탑
제2장 삼국시대 불교의 형성과 발전
1. 승랑(僧郞): 한국 교학불교의 사작, 삼론종의 개창
【자료1】 승랑의 약교이제설(約敎二諦說)
【자료2】 승랑의 삼종이제설(三種二諦說)
2. 겸익(謙益): 인도 계율학의 수용과 발전
【자료 1】 겸익의 계율학
3. 원광(圓光): 호국불교의 정립
【자료1】 원광과 무속의 접촉
【자료2】 세속오계에 나타난 원광의 국가 의식
4. 자장(慈藏): 계단(戒壇)의 형성
【자료1】 중국에서 자장의 활동
【자료2】 귀국 후 자장의 활동
제Ⅱ부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제3장 화엄학의 전개
1. 원효(元曉): 대승교학의 집대성
【자료1】 원효의 전기에 대한 자료
【자료2】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자료3】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의 평가
【자료4】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을 통해 본 원효의 사상
【자료5】 원효의 미타정토사상
【자료6】 『해심밀경소』 (解心密經疏)의 서문
【자료7】 원효의 계율관
【자료8】 원효의 화엄사상: 화엄경소(『華嚴經疏』)의 사교판(四敎判)
【자료9】 원효의 반야사상
【자료10】 『열반경』에 대한 견해
【자료11】 구체적 화쟁의 예
2. 의상(義相): 화엄학의 수용과 발전
【자료1】 도인(圖印)의 모양과 내용
【자료2】 법계도의 취지와 함의
【자료3】 법계도에 대한 세 가지 질문과 답변
【자료4】 육상설(六相說)의 중도적 함의
【자료5】 법계도의 저자를 밝히지 않은 이유
【자료6】 백화도량에서 관음보살에게 올리는 발원문
【자료7】 『법계도기총수록』에 실린 총상과 별상의 의미
【자료8】 동상과 이상, 성상과 괴상의 의미
【자료9】 법계도 가운데 ‘번출여의불사의’(繁出如意不思議)와 ‘구래부동명위불’(舊來不動名爲佛) 구절에 대한 설명
【자료10】 ‘하나’의 의미와 법계연기
【자료11】 성기(性起)는 불기(不起)이다
【자료12】 성기의 수행론적 역할
【자료13】 연수인과와 성기인과의 차이점
【자료14】 법장이 의상에게 보낸 편지
【자료15】 『법계도기총수록』에 대한 김시습의 비판
3. 의적(義寂)
【자료1】 보살계의 의의
【자료2】 보살계를 지킬 수 있는 근기의 두 가지 조건
【자료3】 보살계를 수지(受持)할 수 있는 근기의 세 가지 조건
【자료4】 『연화경우파제사』 (蓮華經憂波提舍)의 의미
【자료5】 정토(淨土)와 부처님의 교화에 대하여
【자료6】 아미타불의 48본원(本願)
【자료7】 ‘십념’(十念)에 대한 해석
4. 표원(表員)
【자료1】 칠처구회(七處九會)는 정토에서 설해졌는가 예토에서 설해졌는가?
【자료2】 일승(一乘)과 방편(方便)
【자료3】 분교의(分敎義)
5. 명효(明皛)
【자료1】 『해인삼매론』 (海印三昧論)을 짓는 이유
【자료2】 해인다라니의 의미
【자료3】 해인삼매도(海印三昧圖)
【자료4】 해인삼매의 경계
【자료5】 게송과 도인의 해설
【자료6】 도인의 해석
6. 견등지(見登之)
【자료1】 ‘수연진여(隨緣眞如)’에 대해서 말하고 말하지 않음
【자료2】 수연진여(隨緣眞如)를 통한 청변보살과 호법보살의 논쟁회통
【자료3】 중생들은 이치상 본래 성불해 있다
제4장 유식학의 전개
1. 원측(圓測): 유식학의 발전
【자료1】 중관불교에 대한 평가
【자료2】 중관과 유식은 대립하지 않는다
【자료3】 원측의 교판에 대한 태도
【자료4】 서로 다른 불교의 교설에 대한 해설
【자료5】 유식의 도리에 관한 설명
【자료6】 인식의 구조에 대한 해설
【자료7】 마음작용의 분류에 대하여
【자료8】 알라야식의 성질에 관해서
【자료9】 식의 본성은 공하다
【자료10】 공(空)에 대한 오해를 비판함
【자료11】 언어에 대한 견해
【자료12】 중생은 모두 해탈할 수 있다
2. 신방(神昉)
【자료1】 『대승대집지장십륜경』을 번역한 의의
3. 승장(勝莊)
【자료1】 『범망경술기』 (梵網經述記)
4. 둔륜(遁倫)
【자료1】 『유가론기』를 저술한 목적을 서술함
【자료2】 『유가사지론』의 핵심적인 가르침을 밝힘
【자료3】 『유가사지론』은 보살장(菩薩藏)에 속한다
5. 대현(大賢)
【자료1】 대현의 기신론관 형성에 미친 원효의 영향
【자료2】 계(戒)와 효도(孝道)의 관계
【자료3】 세간의 효와 승의(勝義)의 효
【자료4】 중관과 유식의 대립과 화쟁
제5장 정토신앙과 미륵사상의 전개
1. 진표(眞表)
【자료1】 강원도 금강산 발연수의 돌에 새긴 기록
【자료2】 진표의 불교관에 대한 일연의 평가
2. 법위(法位)
【자료1】 법장 비구의 48원의 의미
3. 경흥(璟興)
【자료1】 『무량수경』의 근본 취지
【자료2】 미륵삼부경의 취지: 『삼미륵경소』
4. 현일(玄一)
【자료1】 『무량수경』의 개요를 논함: 『무량수경기』
제6장 밀교의 전개
1. 명랑(明朗)
【자료1】 명랑의 신인종
【자료2】 문두루법(文豆婁法)으로 당나라 군을 물리침
2. 혜초(慧超)
【자료1】 밀교의 수승(殊勝)함과 문수보살의 신묘함
【자료2】 경전의 과목(科目)
【자료3】 게송으로 찬탄함
3. 불가사의(不可思議)
【자료1】 『공양차제법』 (供養次第法)의 대의
【자료2】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가운데 『공양차제법중진언행학처품』 (供養次第法中眞言行學處品)이라는 제목의 해석
【자료3】『증익수호청정행품』 (增益守護淸淨行品)의 제목과 종취(宗趣)에 대한 해설
【자료4】 『공양의식품』 (供養儀式品)의 제목과 종취에 대한 해설
【자료5】 『지송법칙품』 (持誦法則品)의 제목과 종취에 대한 해설
【자료6】 『진언사업품』 (眞言事業品)의 제목과 종취에 대한 해설
제7장 선종의 전래와 구산선문의 성립
【자료1】 도의의 남종선 전래와 도헌의 희양산문 개창: 『봉암사지증대사탑비명』 (鳳巖寺智證大師塔碑銘)
【자료2】 체징의 가지산문 개창:
『실림사보조선사비명』 (實林寺普照禪師碑銘)
【자료3】 무염의 남종선과 백장청규
【자료4】 선종의 화엄교학 비판과 우월의식 1:
도의의 화엄교학 비판
【자료5】 선종의 화엄교학 비판과 우월의식 2:
무염의 화엄교학 비판(無舌土論)
【자료6】 선종의 화엄교학 비판과 우월의식 3:
범일의 선종 우월의식(眞歸祖師說)
【자료7】 선종의 화엄교학 배척: 도선의 비보사탑설(碑補寺塔說)
【자료8】 무상(無相)이 선종 발전에 끼친 영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1. 개요
2. 불교의 대중화와 교학발전의 토대
3. 교학의 발전과 심화
4. 선문(禪門)의 형성
제Ⅰ부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제1장 삼국의 불교 전래와 수용과정
1. 고구려의 불교
【자료1】 불교의 민간전래
【자료2】 불교의 왕실전래와 공인
【자료3】 불교의 적극적 홍포
2. 백제의 불교
【자료1】 불교의 왕실전래와 대중화
3. 신라의 불교
【자료1】 법흥왕이 불교를 일으키고 염촉이 순교함
【자료2】 황룡사 9층탑
제2장 삼국시대 불교의 형성과 발전
1. 승랑(僧郞): 한국 교학불교의 사작, 삼론종의 개창
【자료1】 승랑의 약교이제설(約敎二諦說)
【자료2】 승랑의 삼종이제설(三種二諦說)
2. 겸익(謙益): 인도 계율학의 수용과 발전
【자료 1】 겸익의 계율학
3. 원광(圓光): 호국불교의 정립
【자료1】 원광과 무속의 접촉
【자료2】 세속오계에 나타난 원광의 국가 의식
4. 자장(慈藏): 계단(戒壇)의 형성
【자료1】 중국에서 자장의 활동
【자료2】 귀국 후 자장의 활동
제Ⅱ부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제3장 화엄학의 전개
1. 원효(元曉): 대승교학의 집대성
【자료1】 원효의 전기에 대한 자료
【자료2】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자료3】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의 평가
【자료4】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을 통해 본 원효의 사상
【자료5】 원효의 미타정토사상
【자료6】 『해심밀경소』 (解心密經疏)의 서문
【자료7】 원효의 계율관
【자료8】 원효의 화엄사상: 화엄경소(『華嚴經疏』)의 사교판(四敎判)
【자료9】 원효의 반야사상
【자료10】 『열반경』에 대한 견해
【자료11】 구체적 화쟁의 예
2. 의상(義相): 화엄학의 수용과 발전
【자료1】 도인(圖印)의 모양과 내용
【자료2】 법계도의 취지와 함의
【자료3】 법계도에 대한 세 가지 질문과 답변
【자료4】 육상설(六相說)의 중도적 함의
【자료5】 법계도의 저자를 밝히지 않은 이유
【자료6】 백화도량에서 관음보살에게 올리는 발원문
【자료7】 『법계도기총수록』에 실린 총상과 별상의 의미
【자료8】 동상과 이상, 성상과 괴상의 의미
【자료9】 법계도 가운데 ‘번출여의불사의’(繁出如意不思議)와 ‘구래부동명위불’(舊來不動名爲佛) 구절에 대한 설명
【자료10】 ‘하나’의 의미와 법계연기
【자료11】 성기(性起)는 불기(不起)이다
【자료12】 성기의 수행론적 역할
【자료13】 연수인과와 성기인과의 차이점
【자료14】 법장이 의상에게 보낸 편지
【자료15】 『법계도기총수록』에 대한 김시습의 비판
3. 의적(義寂)
【자료1】 보살계의 의의
【자료2】 보살계를 지킬 수 있는 근기의 두 가지 조건
【자료3】 보살계를 수지(受持)할 수 있는 근기의 세 가지 조건
【자료4】 『연화경우파제사』 (蓮華經憂波提舍)의 의미
【자료5】 정토(淨土)와 부처님의 교화에 대하여
【자료6】 아미타불의 48본원(本願)
【자료7】 ‘십념’(十念)에 대한 해석
4. 표원(表員)
【자료1】 칠처구회(七處九會)는 정토에서 설해졌는가 예토에서 설해졌는가?
【자료2】 일승(一乘)과 방편(方便)
【자료3】 분교의(分敎義)
5. 명효(明皛)
【자료1】 『해인삼매론』 (海印三昧論)을 짓는 이유
【자료2】 해인다라니의 의미
【자료3】 해인삼매도(海印三昧圖)
【자료4】 해인삼매의 경계
【자료5】 게송과 도인의 해설
【자료6】 도인의 해석
6. 견등지(見登之)
【자료1】 ‘수연진여(隨緣眞如)’에 대해서 말하고 말하지 않음
【자료2】 수연진여(隨緣眞如)를 통한 청변보살과 호법보살의 논쟁회통
【자료3】 중생들은 이치상 본래 성불해 있다
제4장 유식학의 전개
1. 원측(圓測): 유식학의 발전
【자료1】 중관불교에 대한 평가
【자료2】 중관과 유식은 대립하지 않는다
【자료3】 원측의 교판에 대한 태도
【자료4】 서로 다른 불교의 교설에 대한 해설
【자료5】 유식의 도리에 관한 설명
【자료6】 인식의 구조에 대한 해설
【자료7】 마음작용의 분류에 대하여
【자료8】 알라야식의 성질에 관해서
【자료9】 식의 본성은 공하다
【자료10】 공(空)에 대한 오해를 비판함
【자료11】 언어에 대한 견해
【자료12】 중생은 모두 해탈할 수 있다
2. 신방(神昉)
【자료1】 『대승대집지장십륜경』을 번역한 의의
3. 승장(勝莊)
【자료1】 『범망경술기』 (梵網經述記)
4. 둔륜(遁倫)
【자료1】 『유가론기』를 저술한 목적을 서술함
【자료2】 『유가사지론』의 핵심적인 가르침을 밝힘
【자료3】 『유가사지론』은 보살장(菩薩藏)에 속한다
5. 대현(大賢)
【자료1】 대현의 기신론관 형성에 미친 원효의 영향
【자료2】 계(戒)와 효도(孝道)의 관계
【자료3】 세간의 효와 승의(勝義)의 효
【자료4】 중관과 유식의 대립과 화쟁
제5장 정토신앙과 미륵사상의 전개
1. 진표(眞表)
【자료1】 강원도 금강산 발연수의 돌에 새긴 기록
【자료2】 진표의 불교관에 대한 일연의 평가
2. 법위(法位)
【자료1】 법장 비구의 48원의 의미
3. 경흥(璟興)
【자료1】 『무량수경』의 근본 취지
【자료2】 미륵삼부경의 취지: 『삼미륵경소』
4. 현일(玄一)
【자료1】 『무량수경』의 개요를 논함: 『무량수경기』
제6장 밀교의 전개
1. 명랑(明朗)
【자료1】 명랑의 신인종
【자료2】 문두루법(文豆婁法)으로 당나라 군을 물리침
2. 혜초(慧超)
【자료1】 밀교의 수승(殊勝)함과 문수보살의 신묘함
【자료2】 경전의 과목(科目)
【자료3】 게송으로 찬탄함
3. 불가사의(不可思議)
【자료1】 『공양차제법』 (供養次第法)의 대의
【자료2】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 (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가운데 『공양차제법중진언행학처품』 (供養次第法中眞言行學處品)이라는 제목의 해석
【자료3】『증익수호청정행품』 (增益守護淸淨行品)의 제목과 종취(宗趣)에 대한 해설
【자료4】 『공양의식품』 (供養儀式品)의 제목과 종취에 대한 해설
【자료5】 『지송법칙품』 (持誦法則品)의 제목과 종취에 대한 해설
【자료6】 『진언사업품』 (眞言事業品)의 제목과 종취에 대한 해설
제7장 선종의 전래와 구산선문의 성립
【자료1】 도의의 남종선 전래와 도헌의 희양산문 개창: 『봉암사지증대사탑비명』 (鳳巖寺智證大師塔碑銘)
【자료2】 체징의 가지산문 개창:
『실림사보조선사비명』 (實林寺普照禪師碑銘)
【자료3】 무염의 남종선과 백장청규
【자료4】 선종의 화엄교학 비판과 우월의식 1:
도의의 화엄교학 비판
【자료5】 선종의 화엄교학 비판과 우월의식 2:
무염의 화엄교학 비판(無舌土論)
【자료6】 선종의 화엄교학 비판과 우월의식 3:
범일의 선종 우월의식(眞歸祖師說)
【자료7】 선종의 화엄교학 배척: 도선의 비보사탑설(碑補寺塔說)
【자료8】 무상(無相)이 선종 발전에 끼친 영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기타안내
배송안내 |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
반품/교환 |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상품 품절 |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